목록프로그래밍 언어/파이썬 (23)
나의 지식 보관소
파이썬의 for문은 다른 언어의 for문과 매우 다르다. 다른 언어에서 비슷한 친구를 찾자면 foreach문과 같다. for 변수 in 리스트(or 튜플, 문자열): 파이썬의 for문은 다른 언어의 foreach문과 같이 변수에다가 리스트에 있는 값들을 차례로 대입하고, 마지막 값이 될 때까지 for문의 코드가 실행된다. 파이썬의 for문을 다른 언어의 for문과 비슷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range()함수가 필요하다. range(10)는 0부터 10미만의 숫자를 포함하는 range객체를 만들어준다. range(1,10)처럼 시작 숫자와 끝 숫자를 지정해줄 수 도 있다. range와 for를 합치면 다른 언어의 for문처럼 사용할 수 있게된다. for i in range(10): add =+ i 또 다른..
조건문이 참인 경우 if 조건문 else 조건문이 거짓인 경우
a, b = 1, 2 # 순차적으로 a에는 1이 b에는 2가 대입된다. a, b = b, a # 따라서 이런 방식으로 두 변수의 값을 바꿔줄수도 있다.
집합 자료형은 이름에서 보이듯 집합에 관현한 것을 쉽게 처리하기위한 자료형이다. 으레 집합이 그러하듯이 이 자료형에서 또한 데이터의 중복을 허용하지않고, 순서가 없다. 집합은 다음과 같이 만들수있다. s1 = set([1,2,3]) # { 1, 2, 3 } s2 = set("Hello") # { 'e', 'H', 'l', 'o' } 앞서 말했듯 집합은 순서가 없기 때문에 인덱싱을 통해 값을 얻을 수 없다. 그러므로 집합 자료형에 저장된 값을 인덱싱을 통해 접근하려면 리스트나 튜플로 변환해주어야 한다. 또한 집합 자료형의 특징으로는 교집합, 합집합, 차집합을 구할수 있다. s1 = set([1,2,3]) s2 = set([2,3,4]) print( s1 & s2 ) # 교집합 print( s1 | s2 )..
딕션너리는 다른말로하면 연관 배열이라 부르는데, 연관 배열이란 키 하나가 값 하나와 연관되어 있어 키를 통해 연관되는 값을 얻을수 있는 자료구조이다. 다음은 딕셔너리의 기본 모습이다. { key1:value1, key2:value2, key3:value3 } 다음은 사용 예시이다. dic = { 'name':'YaSic', 'phone':'01012345678' } print(dic['name']) # YaSic 출력 dic['birth'] = '021220' # 'birth':'021220'를 추가 del dic['phone'] # 'phone':'01012345678'를 제거 한가지 더 알아두면 좋은 것은 dic['height']처럼 없는 키값을 불러오려 하면 오류가 발생하지만 dic.get('hei..
튜플은 리스트와 거의 유사한 모양새를 띄지만 다음과 같은 차이를 보인다 - 리스트는 []으로 감싸고 튜플은 ()으로 감싼다. - 리스트는 그 값의 생성, 삭제, 수정이 가능하지만 튜플은 그 값을 바꿀 수 없다. - 튜플은 요소가 하나일때 하나의 요소뒤에 , 를 붙여주어야 한다. - 튜플은 괄호를 생략해도 무방하다. ( 그래도 요소가 하나일땐 , 붙여야한다. ) a = ( 1, 2, 3, 4 ) b = ( 1, ) c = 1, 2, 3 수정이 안된다는 점만 빼면 나머지 사용법은 리스트와 같다.
문자열 인덱싱 파이썬도 다른 많은 언어들 처럼 문자열 인덱싱 기능을 지원한다. a = "Life is too short, You need Python" print(a[0]) #L print(a[-1]) #n 문자열 슬라이싱 a = "Life is too short, You need Python" print(a[0:5]) #Life print(a[0:-17]) #Life is too short print(a[4:]) # is too short, You need Python print(a[:5]) #Life 주의 할 점은 a[0:5]의 범위는 0